급발진 대처 방법 (feat.시동끄기)
자동차사고 예방을 위한 필수 지식: 급발진 및 급가속 대처법
자동차 사고는 예고 없이 일어나며, 서울 시청역에서 발생한 역주행 사고는 많은 사람들에게 공포를 안겼습니다. "내가 운전하는 차가 갑자기 가속이 붙어 통제할 수 없다면?" "브레이크가 밟히지 않으면?" 같은 질문들은 운전을 생존의 영역까지 몰아갑니다. 자동차 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방법들을 알아봅니다.

급발진 및 급가속 상황 대처법
지난 15일 충남 보령에 있는 아주자동차대학교 주행 실습장에서 급가속과 밀림 상황에서 차량을 제어하는 법을 실습했습니다. 특히 여름 휴가철에 장거리 운전을 앞둔 운전자들에게는 급발진 혹은 급가속에 대응하는 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도로에서는 불가능한 주행 중 시동 끄기, 사이드 브레이크 잠그기 등을 실험했습니다.
급발진 상황에서 시동 끄기급발진 상황에서 시동을 끄는 것은 유효한 대처법입니다. 버튼식 차량은 2~3초 이상 길게 눌러야 시동이 꺼지고, 열쇠식 차량은 절반 가량을 돌리면 전기부품 전원은 켜진 상태에서 시동이 꺼집니다. 시동을 끄는 동시에 기어를 N(중립)에 놓아 감속을 시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고속도로에서는 가드레일이나 벽에 차를 세우는 방법도 고려해야 합니다.
급가속 상황에서 기어 변속급가속 상황에서는 기어를 N(중립)으로 변속해 감속을 시도합니다. 이 방법은 급가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급정지를 시도할 때는 핸들이 이리저리 움직이고, 차가 휙 돌 수 있습니다. 전자식 사이드 브레이크는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덜하지만, 차종마다 버튼 위치가 달라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브레이크가 딱딱할 때의 대처법시속 80km 이상으로 달리는 상황에서 브레이크 유압을 채워 딱딱한 상태에서 차를 세우는 실험을 해봤습니다. 브레이크를 세게 밟아도 2~3cm밖에 밟히지 않는 느낌이었습니다. 이 경우 "브레이크를 부술 듯이 밟아라"는 조언이 유용했습니다. 힘이 모자라다면 두 발로 밟는 것도 방법입니다.
주행 중 커브 및 미끄러짐 대처법
고속도로 나들목이나 회전 교차로에서 속도를 높이면 차가 핸들 조작 범위를 넘어 튕겨나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때 전륜 차량은 언더스티어(understeer), 후륜 차량은 오버스티어(oversteer)가 발생합니다. 전륜 차량은 속도를 줄이면 궤도로 돌아오고, 후륜 차량은 핸들을 반대쪽으로 튼 뒤 바로잡아야 합니다.
차량의 특성 파악자신의 차량이 전륜 구동인지 후륜 구동인지 파악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전륜 차량은 엔진의 힘으로 앞바퀴를 굴리며, 후륜 차량은 뒷바퀴가 구르는 힘으로 나갑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커브길에서의 대처 방법도 달라집니다.
운전 습관 점검
양발 운전의 위험성양발로 액셀과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는 운전 습관은 위험합니다. 비상 상황에서도 오른쪽 발은 움직이지 않고 왼쪽 발에만 강한 힘을 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한 차량 커뮤니티 조사에 따르면 양발 운전을 하는 운전자가 전체의 18%에 달했습니다. 이들은 양쪽 발로 운전하는 게 더 익숙하다고 주장하지만, 긴급 상황에서는 오히려 사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차량 내부 정리정돈차량 내부 정리정돈은 외부 세차보다 더 중요합니다. 브레이크 아래에 먹다 버린 캔이나 껌통 같은 물건이 끼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페달 블랙박스(풋캠) 역시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면 페달 밑으로 굴러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기 점검의 중요성장마철이 오기 전과 겨울이 오기 전에는 반드시 차량을 정기 점검해야 합니다. 특히 장거리 운전을 앞두고 있다면 기본 점검은 필수입니다. 보닛을 열어본 적이 없거나 공기압이나 워셔액을 체크하는 법을 모른다면, 내 차량이 길 위의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 제작사들이 제공하는 무상 점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론
교통사고는 운전자 본인뿐만 아니라 길을 걷던 누군가의 삶까지 앗아갈 수 있습니다. 자동차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차량 특성을 파악하고, 급발진 및 급가속 상황에서의 대처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정속 주행과 차량 내부 정리정돈, 정기 점검을 통해 안전한 운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여름 휴가철에 안전 운전을 바라는 마음으로, 이 기사를 참고하여 안전한 운전 습관을 기르길 바랍니다.